먼저 난 곽경택 감독이 영화 <친구>로 환상의 재기전을 펼쳤을 때, 재기전의 승리를 누구보다 축하했다.

그것은 일단 영화 <친구>라는 작품 이전에 그 동안 연출하는 영화마다 고배를 마셔야 했던 곽경택 감독에 대한 우정어린 시선에서였다. 하지만 난 그의 차기작 소식을 듣고 조금은 불안한 마음을 감출 수 없었다. 그것은 차기작 <챔피언> <친구>와 같은 선상에 포진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기인한다. <친구>는 준석과 동수 그리고 상택이라는 실화에 근거한 인물들의 자전적인 기록이다. 즉 그들의 성장부터 한 친구의 죽음까지를 다루고 있다. 이것은 비록 영화를 보지 않았지만 기획 당시 김득구라는 인물을 다룰 것이라는 이야기에서 <챔피언>도 그와 동일한 맥락으로 진행할 것이라 예측할 수 있었다. 더불어 김득구라는 과거 속의 인물을 등장시킴으로써 <친구>와 동일한 복고풍의 분위기까지 너무나 <친구>의 연장선상에 있다. 복고적인 분위기로 표적관객층을 넓히고 싶었는지는 모르지만 이래저래 의혹으로 작용을 한다. 물론 대가들은 같은 이야기를 변주하고 같은 사건을 새롭게 조명하고는 한다. 하지만 나는 그 모든 것이 흥행의 맛을 알게 된 곽경택 감독이 <친구>의 흥행코드를 새롭게 조합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심을 지울 수 없었다. 그리고 영화를 본 지금 그 생각은 거의 틀리지 않았다.


물론 영화속에는 유행이라고 할 수 있는 트렌드도 있고 더불어 흥행코드도 있다. 그리고 한 영화가 흥행하면 그 코드들은 새롭게 변주되고 변형되어 다른 영화 혹은 아류 영화에서 등장한다. 이를 통해서 장르가 탄생되었으니 이것은 어쩌면 상업적 자장에서의 영화의 숙명일 수도 있다. 만일 <챔피언>이 곽경택 감독의 영화가 아니었다면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곽경택 감독은 그가 <친구>에서 보여주었던 이야기와 다른 이야기를 했어야 했다. 적어도 흥행코드만을 가져와 변주한 영화를 만들어서는 안되었다는 말이다. 그것은 그의 작품을 기대하는 관객에 대한 가장 중요한 배려가 결여되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창의력의 영역을 보고 싶지 봤던 부분을 또 보고 싶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그는 그 코드를 가져와 김득구라는 인물의 자전적 이야기속에 대입을 했고 별 감흥없는 영화를 만들어냈다.

 

 

<챔피언>의 주요 매체 커뮤니케이션 카피중에 하나는 친구의 제작군단이 뭉쳤다는 것이었다. 이는 이전 영화인 <친구>의 흥행자산을 그대로 <챔피언>에 전이시킴으로써 <친구>를 재미있게 혹은 감명깊게 본 관객들을 <챔피언>의 관객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카피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훌륭한 전략임에는 분명하다. 그 만큼 <친구>는 분명 강력한 흥행자산을 갖고 있는 영화임에는 분명하다. 그렇다면 이 문구에 의해서 영화를 분 관객들은 대부분 <친구>의 감독인 곽경택감독과 김동주 대표의 코리아픽쳐스에 일정정도 충성도를 갖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하지만 난 어느 정도 확신하건데 <챔피언>을 보고 극장 문을 나서는 관객들은 그들이 갖고 있던 곽경택 감독과 코리아픽쳐스의 충성도를 지워낼 것이다. 별 다르지 않은 이야기구조, 별 다르지 않은 분위기 분명 식상하다. 실망하지 않겠는가 말이다. 곽경택 감독과 코리아픽쳐스에 말이다. 관객의 기억은 백지 상태가 아니다. 그들의 기억과 감정에는 <친구>로 인해 가졌던 기억과 감정의 파도가 그대로 각인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챔피언>의 구조와 감동의 골격들은 새롭지도 않고 파장도 크지 않다.

 

<챔피언>의 미덕이라고 한다면 순수하다 못해 순진한 메세지 정도가 될 것이다. 그것은 복싱이라고 하는 스포츠의 감흥하고 동일하다. 김득구의 극중 대화처럼 팔이 세개 달린 놈은 없으니 두 팔로 그리고 몸으로 피와 땀을 틔기며 부딪쳐 이루어내는 복싱은 단순하면서 우직하다. 하지만 영화는 그 메세지를 너무 과대하게 돌출하고 남발함으로써 왠지 좀 거북스럽다. 이것은 분명 <친구>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준석이 내 맽던 감상적인, 그리고 멋드러지는 대사들은 <챔피언>에서도 역시 체육관 관장의 입을 통해 동일하게 변주된다. 준석을 거울 앞에 세우고는 거울 앞에 있는 바로 자신이 가장 강한 상대라고 하는 관장의 대사들과 그가 하는 행동들은 분명 우리의 기억속에 이상적으로 자리잡혀 있는 복고적인 감상이다. 마치 군대에서 온갖 쌍소리를 하고 이단, 삼단 발차기로 패고서는 몰래 불러내어 담배 한대 건네며 너에게는 미안하지만 소대를 위해서는 어쩔 수 없었다고 하는 군 시절의 분대장을 떠올리게 하는 기억속에 아련하게 존재하는 감상이다. 물론 그러한 이 영화의 주된 메세지는 어쩌면 김득구라는 인물을 조명하기 위한 그리고 복싱이라고 하는 스포츠의 매력을 도출하기 위한 것일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사만이 그리고 개별 에피소드만이 가슴에 남을 뿐이지 극 전체를 끌어안고 있지는 못하다. 이것은 <친구>에서도 별반 다르지 않다.


 

이 영화는 현재 흥행의 선두에 위치하면서 월드컵으로 가물었던 영화계에 단비가 되고 있다. 하지만 개봉한지 얼마 안되는 이 영화가 초반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전작인 <친구>의 흥행자산과 인지도를 최대로 끌어올린 매체커뮤니케이션 플레이의 결과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이를 위해 김득구의 상대였던 맨시니를 불러와 시사회를 했고 최고의 인기그룹 god를 데려와 ost를 만들었다. 하지만 이전 <친구>처럼 가장 강력한 힘인 구전효과를 끌어내지는 못할 것이다. 관객은 같은 이야기를 두 번 듣고 싶어 하지도 않고 식상함을 쉽게 느끼기 때문이다. 곽경택 감독의 개인적인 경험이나 감상을 영화로 끌어들이는 것은 좋다. 하지만 그것이 동일하지는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소년과 바다와 노스텔지아 같은 뿌연 분위기는 이제 사양하고 싶다.

2002 7월 7일에 쓴 글. 결국 이영화는 외적으로도 꽤 뒷끝이 좋지 않은 영화가 되기도 했다.

 


Posted by honeybadger :